- 12년간 자활기업서 집수리…위생 등 주거공간 문제 발견 / 당시 현장경험 바탕 주택조성
최근 주거비 부담을 줄이고 주거 안정을 돕는 ‘전주형 사회주택’을 도심 한복판에 조성한 한국주거복지 사회적협동조합 김정태 이사장이 소회를 밝혔다.
거주 취약계층에게 든든한 울타리가 될 이 사회주택은 전주시 팔복동 추천마을의 한 다세대 주택 2동에 총 9가구가 둥지를 튼다. 임대조건은 보증금 500만 원에 월 임대료 25만 원이다.
김 이사장은 “현재 7곳이 신청서를 냈다. 이달말까지 추가 신청을 받고 있다”면서 “건물은 시가 매입한 것으로 최종 선발된 입주자들은 장기 20년까지 임대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나 누구나 입주할 수 있는 공간은 아니다. 전주시민이면서 소득이 적고, 무주택자가 최우선으로 뽑힌다. 취약계층이 아니어도 보유한 주택이 없으면 지원은 가능하다.
전주에서 ‘사회주택’으로 첫발을 내딘 김 이사장은 그동안 전주지역 거주 실태를 직접 살펴보는 활동을 이어왔다.
김제 출신인 김 이사장은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건축 사무소에서 10여 년을 근무했다. 지난 2006년 지인과 함께 전주 자활기업에서 일하며 취약계층 집수리하는 일을 도맡았다.
김 이사장은 “12년간 자활기업에서 일하다 보니 최저 주거 기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가정을 많이 봤다”면서 “가족 중 부모와 딸 아들이 살면, 딸과 아들, 부모는 공간을 나눠줘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가 찾은 상당수 거주 공간은 위생적으로 관리가 되지 않아 수리에 앞서 청소부터 하기도 했다. 특히 장애인 접근이 용이하도록 거주 공간을 바꿔야 하는데, 대부분 이를 간과하는 현실을 마주했다고 한다.
김 이사장은 “현장에서 다양한 주거 문제를 느꼈다. 이 생각이 ‘전주형 사회주택’을 조성하는 토대가 된 것 같다”고 했다.
한국주거복지 사회적협동조합은 전국에 100여 개의 자활기업이 가입돼 있다. 전북은 7개 조합 30여 명이 활동 중이다.
김 이사장은 “전주에서 처음 공급되는 사회주택은 가구당 평균 20여평의 아담한 공간”이라면서 “이 사업이 확대돼 많은 취약 계층이 두발 뻗고 편히 잘 수 있는 보금자리를 마련 할 수 있도록 열심히 발로 뛰겠다”고 밝혔다.
남승현 reality@jjan.kr
<저작권자 © 전북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