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 9월 1일 시행되는 건축물의 단열기준 강화와 관련하여, 국토교통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일부개정 고시내용을 안내드립니다. 개정사유 및 주요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행정예고 :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1448호 (공고일 : 2017년 10월 13일)
개정고시 :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7-881호 (공고일 : 2017년 12월 28일)

 

1. 개정사유
○ 건축물의 단열성능을 향상시켜 건물부문 국가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소비 저감을 도모하고건축물 에너지소비 총량제의 적용대상을 확대하여 건축물의 정량적 에너지성능 평가 체계 확산

2. 주요내용
○ 주거/비주거부문 
단열기준을 단열성능이 우수한 패시브 건축물 수준으로 개정

▶ 건축물의 단열기준 강화
 - 거실의 외벽, 최상층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최하층 거실 바닥, 거실의 창 및 문 등에 대한 열관류율 기준 및 단열재 두께 강화(별표 1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 별표 3 단열재의 두께)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7-881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일부개정에 따라 2018, 9월 1일 부터 주택 허가시 강화된 단열기준 이상으로 설계·시공하셔야합니다. 따라서 개정된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 단열재 등급 분류, 단열재 두께 와 관련한 내용을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별표1]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
○ 전반적으로 열관류율 강화
○ 현행 중부, 남부, 제주 지역구분에서 중부1, 중부2, 남부, 제주의 4개 지역구분으로 세분화

 


 

0de676d4654d3be15bbe72fecde8a286_1516328464_3053.JPG
0de676d4654d3be15bbe72fecde8a286_1516328469_6132.JPG 

 

중부1지역
강원도(고성속초양양강릉동해삼척 제외), 경기도(연천포천가평양주의정부양주동두천파주), 충청북도(제천), 경상북도(봉화청송)
중부2지역
서울특별시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인천광역시강원도(고성속초양양강릉동해삼척), 경기도(연천포천가평남양주의정부양주동두천파주 제외), 충청북도(제천 제외), 충청남도경상북도(봉화청송울진영덕포항경주청도경산 제외), 전라북도경상남도(거창함양)
남부지역
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울산광역시광주광역시전라남도경상북도(울진영덕포항경주청도경산), 경상남도(거창함양 제외)

 

 

현행 중부지역, 남부지역, 제주도로 구분되었던 지역이 중부1지역, 중부2지역, 남부지역, 제주도의 4개 지역으로 세분화되었습니다. 개정된 지역에 따라 거실의 외벽 및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부위의 열관류율 기준도 함께 강화되었습니다. 거실의 외벽의 경우 현행 중부지역 열관유율 기준은 중부2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했을 경우 0.020 W/㎡·K 강화, 남부지역 동일, 제주도 0.020 W/㎡·K 강화되었고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의 경우 중부1지역 세분화 내용을 제외하면 열관류율은 동일합니다.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0.220 W/㎡·K 에서 0.210 W/㎡·K 으로 강화)
지역구분 세분화에 따라 대부분의 지역이 변경되었으므로 금년 9월 1일 이후 건축허가를 받을 건축주들께서는 각 지역구분에 해당되는 지역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별표2] 단열재의 등급 분류

0de676d4654d3be15bbe72fecde8a286_1516328489_5723.JPG 

 

[별표3] 단열재의 두께

 

 

0de676d4654d3be15bbe72fecde8a286_1516328556_2298.JPG

0de676d4654d3be15bbe72fecde8a286_1516328560_2664.JPG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최종 글
공지 2024년 새해 인사말 - 이한솔 협회 이사장 2024.01.16 1289 조직국  
324 주거복지 컨퍼런스(전주) 2017.11.07 179 사무국  
323 SH 금융기획부, 민관협력 공동체주택개발사업 간담회 2017.11.07 428 사무국  
322 '원가연동형 표준임대료' 도입해 사회주택 뿌리내리게_한겨레 file 2017.11.10 269 관리자  
321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 부산시 등과 일자리 창출 위한 사회적기업 지원펀드 조성 2017.11.23 209 사무국  
320 주거복지 로드맵 공적 임대주택 적용대상 확대 방점 2017.11.23 236 사무국  
319 서울사회주택리츠 사업설명회 file 2017.11.28 152 사무국  
318 서울시·SH, 서울사회주택리츠 설립 50억 출자 2017.11.28 417 사무국  
317 '공공과 민간 사이' 사회적 주택 활성화…민간임대 한계 넘는다 2017.11.29 497 사무국  
316 어반하이브리드 file 2017.12.26 384 사무국  
315 주거복지연대 file 2018.01.14 144 사무국  
314 주식회사 프로메사이트 2018.02.08 213 사무국  
313 [경제의 눈]民官협력 임대주택으로 서민 주거안정을 2018.01.18 198 사무국  
312 셰어하우스 우주 file 2018.01.18 5519 사무국  
311 사회주택 컨퍼런스 '서울과 만나는 사회주택' file 2018.04.16 200 사무국  
310 도시재생-사회주택 탐방-서울 서북권 2018.04.16 117 사무국  
309 주거복지로드맵과 사회주택 2018.05.10 176 사무국  
308 국토부의 사회임대주택... 2018.07.09 133 사무국  
307 올해 도시재생 뉴딜사업 264곳 신청 2018.07.13 134 이노베이터  
306 고방 “고시원에 셰어하우스 정보까지…” 2018.07.17 134 이노베이터  
305 박원순 "역세권·유휴지 발굴해 사회적주택 공급 늘리겠다" 2018.07.18 141 이노베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