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청년 주거지원방안 

주거복지로드맵의 신혼·청년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구체화 

5년간 최대 88만쌍의 신혼부부에게 공공주택·자금을 지원하고, 6세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6만가구)을 신혼부부에 準하여 지원 

최대 75만가구의 청년에게 임대주택·맞춤형 금융지원 

1. 신혼부부 주거지원 

(기본방향) 주거지원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최대 88만쌍에게 공공주택·자금을 지원하고, 한부모가족도 신혼부부에 準하여 지원 

① (저렴한 임대주택 25만호) 지원요건을 완화한 매입·전세임대Ⅱ를 도입하여 로드맵 대비 공공임대 3.5만호 추가공급(총 20만호→23.5만호) 
* 평균소득 100% 이하(맞벌이 120%) 신혼부부에 대해 시세의 80% 이하로 공급 

공공지원주택은 집주인 임대사업 제도개선 및 신혼부부 우선공급을 통해 1.5만호 공급(0→1.5만) 
* 신혼부부 임대주택 공급 : (’13~’17)8.6만 → (로드맵)20만 → (금번대책)25만 

② (신혼희망타운 10만호) 신혼부부 특화형 공공주택인 신혼희망타운을 총 10만호 공급(로드맵 대비 +3만)하여 저렴한 내집 마련 기회 확대 

(신규 사업지) 23개소 1.3만호(신규택지 13, 기존택지 10)를 추가 공개하고, 서울을 포함하여 연내에 10만호 전체 부지 확정 
* 서울은 도심 역세권·유휴지 및 보존가치가 낮은 GB를 활용한 신혼희망타운 등 주택공급방안을 마련하여 하반기에 대상지 확정 

(입주자격) 평균소득 120%(맞벌이 130%) & 순자산 2.5억 이하 신혼부부(한부모가족 포함) 공급하고, 2단계 가점제를 통해 입주자 선정 
* 1단계 가점제 : 혼인 2년 이내 및 예비부부에게 30% 우선공급 → 2단계 가점제 : 잔여물량 70%는 모든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가점제 선정 

(대출지원) 분양형은 1%대 초저리 수익공유형 모기지, 임대형은 분할상환형 전세자금대출과 결합하여 비용부담 경감 

③ (분양주택 특별공급 10만호)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분양주택 특별공급 확대(국민·공공 15→30%, 민영 10→20%) 및 지원대상 확대* 
* 특별공급 물량 중 일부에 대해 소득요건 완화(맞벌이 120% → 130%) 

④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 신혼부부 특화단지 조성*, 공급평형 확대**를 통해 자녀 출산 이후에도 아이 키우기 좋은 주거환경을 조성 
* 신혼희망타운, 국민임대, 행복주택을 특화단지로 조성, 매입임대주택 특화시설 보강 
** 행복주택 신혼부부 특화단지 넓은 평형 공급 (36㎡ 위주 → 44/59㎡ 확대) 


⑤ (자금지원 강화 43만가구) 기금 구입자금대출의 대출한도, 소득요건 상향 및 금리우대 강화 → 5년간 15만가구 지원(+8.5만) 

전세자금도 신혼부부 전용 대출과 버팀목대출의 대출한도, 소득요건 상향 및 금리우대 강화 → 5년간 25만가구 지원(+10만) 

전세금안심대출보증의 보증한도 상향(80→90%) 및 보증료 할인확대(40→50%)를 통해 이자·보증료 부담 경감 → 5년간 3만가구 지원(+1.5만) 
* 전세금대출보증(임차인→은행)과 전세금반환보증(집주인→임차인)을 결합한 상품(HUG) 

⑥ (한부모가족 지원) 한부모가족도 신혼부부에 準하여 지원함으로써 차별과 편견 없이 아이 키울 수 있는 주거여건 조성 

(공공주택 입주자격 확대) 모든 공공주택 신혼부부 지원 프로그램에 한부모가족이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 지원대상과 규모를 대폭 확대 
*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가족을 모든 공공주택의 우선공급대상에 포함 

(기금지원 강화) 신혼부부 수준의 금리가 적용되도록 버팀목대출 우대대상(1%p)을 확대*하고, 디딤돌대출 우대금리 도입(0.5%p)** 
* (현행) 한부모가족 확인서 발급대상 + (추가) 6세 이하 자녀를 둔 연소득 5천만원 이하 한부모가족 
** 한부모가족 확인서 발급대상 또는 6세 이하 자녀를 둔 소득 6천만원 이하 한부모가족 


2. 청년 주거지원 

(기본방향) 청년 임대주택 본격 공급, 대학 기숙사 확충, 희망상가 공급, 청년의 주거금융 지원 강화 등을 통해 5년간 75만가구 지원 

① (맞춤형 청년주택 27만실) 공공임대주택 총 14만호(로드맵 +1만호)를 시세의 30~70% 수준으로 청년 수요가 많은 형태*로 공급 
* 도심형, 일자리 연계형(소호형 주거클러스터, 산단형 주택 등), 셰어형 등 

공공지원주택은 역세권, 대학, 산단 인근에 총 13만실을 시세의 70~85%로 특별공급(로드맵 +1만실) 

② (기숙사 6만명) LH 등이 학교 인근의 기존주택을 매입·임대 후 대학 등 운영기관에 기숙사로 일괄 임대하는 ‘기숙사형 청년주택’ 도입 

⇒ 1만명(5천호)을 지원함으로써 기숙사 입주인원을 6만명으로 확대 

③ (희망상가 공급) 임대주택 단지 내 상가를 청년, 사회적 기업, 소상공인 등에게 최장 10년간 감정가의 50~80%로 임대 

④ (금융 지원 42만)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보증부 월세대출, 청년 전용 버팀목대출 등 7대 청년 주거금융 지원상품 제공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청년의 내집·전셋집 마련 비용 지원을 위해 금리우대·비과세 등이 적용되는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출시(7월말) 

(전월세 대출지원) 보증부 월세대출 출시, 1인가구 대출한도 확대, 일반 버팀목대출 청년 우대금리 적용 등 지원 강화 

(민간금융 이용자 지원) 고금리 2금융권 전세대출의 버팀목대출 전환 확대, 전세금안심대출 보증한도 확대 등을 통해 금리부담 경감

 

 

신혼부부 청년 주거지원방안 .hwp

 

신규 공공주택지구 위치도.hwp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글쓴이 최종 글
공지 2024년 새해 인사말 - 이한솔 협회 이사장 2024.01.16 1289 조직국  
144 제2회 국제 사회주택 축제(6/4~) 참가 신청 양식 2019.02.06 211 사무국  
143 삼시옷, HUG 사회임대주택 PF보증상품 1호 승인 2019.01.30 293 사무국  
142 (퍼옴)서울시 부모들, 노후에는 자녀와 따로 살기 원해 2019.01.28 160 사무국  
141 서울시 마을건축가 공개모집 공고 2019.01.28 214 사무국  
140 인구 이탈 막자…청년들 전·월대 대출금 이자 지원에 행복·공공임대주택 짓는 충북 옥천군 2019.01.28 171 이노베이터  
139 서울특별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직원 공개채용공고 2019.01.25 216 사무국  
138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2019.01.22 206 사무국  
137 새해 바뀌는 청년 주거지원 정책 2019.01.22 215 사무국  
136 전주형 사회주택 ‘청춘 101’, 여성안심주택으로 공급키로 2019.01.22 1659 이노베이터  
135 사회적기업 안테나, “철강장인과 청년이 만나 문래동의 변화를 그리다” 2019.01.17 196 이노베이터  
134   2017.12.04 175 사무국  
133 자립체험주택, 노숙인·정신질환자 사회복귀 마중물 될까 2019.01.11 149 이노베이터  
132 거처없는 노인에 안심주택 제공… 지역사회 통합돌봄 서비스 시작 2019.01.11 18106 이노베이터  
131 [서울시 4개년]'공공주택 24만·혁신형 8만가구'…'10분 동네' 마을재생사업 추진 2019.01.11 756 이노베이터  
130 [주거안전 권리장전 프로젝트] 1. 커스텀소화기 공동구매 추진 file 2019.01.10 194 사무국  
129 국토교통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일부개정 고시내용 2019.01.10 2598 사무국  
128 정선 서민주택 370가구 건립 2019.01.09 149 이노베이터  
127 SH공사, 공동체주택 아카데미 개최…사회주택 소개 file 2019.01.07 210 이노베이터  
126 임차인 배려하는 상가임대인에 용적률 등 인센티브 2019.01.03 155 이노베이터  
125 이정환 주금공 사장 "포용적 주택금융 실현" 2019.01.03 159 이노베이터